간호용어
기본적인 의학용어를 정확하고 분명하게 정의, 응용하며 간호실무 현장의 전문용어를 활용하여 전문인 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한다.
병리학
의학의 기초적 학문 분야인 병리학은 질병의 원인, 기전, 진행과정,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형태학적, 기능적 관점에서 학습하여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한다.
여성건강간호학(IV)
여성의 고위험 생식기 질환과 발달주기별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간호과정에 적용한다.
정신간호학(III)
정신장애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익히고 정신건강 요원으로서 대상자의 건강요구에 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간호과정을 근거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지역사회간호학(III)
가족간호, 방문간호, 보건교육 등에 대한 포괄적 개념을 이해하고 간호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과목이다.
성인간호학실습(III)
중환자의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 간호지식 및 숙련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창의적,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며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원활한 대인관계를 갖는다.
성인간호학(IV)
신경계, 피부 질환을 가진 성인의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 간호지식 및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창의적,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간호관리학(III)
간호관리자의 직위별 간호조직, 인사, 지휘, 관리 활동을 학습하며 리더십 원리에 근거한 간호지도자의 리더십능력을 함양하고 간호단위관리의 실제 능력인 QI전략과 간호정보, 간호서비스 마케팅 전략을 학습한다.
아동간호학(IV)
감염, 종양, 뇌기능장애 및 발달장애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가진 아동의 일반적 증상, 치료적 중재와 간호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여 통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간호관리학실습
임상현장에서 간호관리과정에 따른 간호 관리자의 직위별 역할 수행에 필요한 간호리더십 관련 지식, 기술, 자질을 습득한다. 또한, 효율적인 간호관리를 위한 전문분야간 상호작용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리더십 수행, 간호현장에서의 법적· 윤리적 기준 및 간호실무의 품질향상을 위한 질관리 활동을 적용한다.